태그검색
#전력망
-
NEWS PR쿠웨이트에서 6,500만 달러 규모 전력망 프로젝트 수주
대한전선, 쿠웨이트에서 6,500만 달러 규모 전력망 프로젝트 수주- 300kV 초고압 전력망 구축 전 과정을 턴키로 일괄 수행- 유럽, 일본 등 글로벌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 뚫고 수주 성과- 우수한 프로젝트 수행능력 및 기술력을 기반으로 추가 수주 기대대한전선이 쿠웨이트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중동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재확인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쿠웨이트 수전력청(MEW :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 & Renewable Energy)이 발주한 초고압 전력망 턴키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5일 밝혔다. 수주 금액이 6,500만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은 쿠웨이트의 수도인 쿠웨이트시티의 전력 수요 증가에 원활하게 대응하기 위해 기설(旣設) 변전소 사이에 지중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턴키(Turn-key) 방식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대한전선은 300kV급 초고압 케이블과 접속재 등 자재 공급과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일괄 수행한다. 쿠웨이트는 중동지역에서 가장 입찰 조건이 까다로운 국가로, 300~400kV급 초고압 전력망의 경우에는 유럽, 일본 등 소수의 기업만이 입찰 자격을 갖추고 있다. 대한전선은 쿠웨이트 수전력청이 발주한 다수의 초고압 턴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쌓아온 프로젝트 수행 능력과 기술력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유수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이번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중동 시장에서 50년 이상 케이블을 공급하며 구축해 온 공고한 네트워크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며, “쿠웨이트는 국가 발전 전략인 ‘뉴 쿠웨이트 비전2035’ 추진에 따라 전력망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이번 수주를 발판으로 다른 입찰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전선은 올해 초 쿠웨이트 최초의 광케이블 생산 법인인 ‘대한쿠웨이트(Taihan Kuwait)’의 공장을 착공하고, 연내 준공 및 매출 실현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
NEWS PR독일 380kV 프로젝트 수주… 초고압 시장 포문 열다
사진 1. 대한전선이 생산한 초고압케이블이 당진공장에서 출하를 앞두고 있다.사진 2. 대한전선이 생산한 초고압케이블이 유럽(네덜란드)으로 수출되고 있다. 대한전선, 독일 380kV 프로젝트 수주… 초고압 시장 포문 열다- 독일 지중 교류 전력망 중 최고 전압인 380kV 프로젝트 두 건 수주- 기술 검증 까다로운 독일에서 다수의 글로벌 유수 업체 제치고 성과 내 대한전선이 연초부터 독일 초고압 전력망 시장 진출에 성공하며, 유럽에서의 경쟁력을 확인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지난 1월 독일에서 초고압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 두 건을 연이어 수주했다고 2일 밝혔다. 발주처는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송전망(送電網)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TSO(Transmission System Operator) 기업인 테넷(TenneT)으로, 총 수주 규모는 한화로 약 700억 원이다. 두 프로젝트는 모두 독일의 전력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380kV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건이다. 380kV는 독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중(地中) 교류 전력망 중 가장 높은 전압으로, 최고 전압인 만큼 수행 업체 선정 시 전력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술 및 품질 평가가 철저하게 진행된다. 대한전선은 이번 수주를 통해 독일의 380kV 초고압 전력망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하게 됐다. 2019년에 테넷으로부터 수주한 네덜란드 남부 해안(Hollandse Kust) 380kV 초고압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수행한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대한전선은 초고압 케이블과 접속재 일체를 공급하고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책임지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까다로운 시장으로 손꼽히는 독일에서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을 뚫고 연이어 프로젝트를 수주했다는 점에서 대한전선의 유럽 시장 내 입지와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번 수주로 독일 초고압 시장의 포문을 연 만큼,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는 독일 및 주변 국가에서 추가 수주의 기회를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전선은 2017년 영국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유럽 시장 공략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영국의 대규모 랜드마크 사업인 런던파워터널2단계(LPT2) 프로젝트를 포함해 유럽 각국에서 중요 프로젝트를 따내며 기술력과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는 네덜란드 법인(2019년), 덴마크 지사(2021년), 스웨덴 지사(2022년) 등을 추가로 설치하고 현지 밀착 영업을 통한 수주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
NEWS PR호주 시드니 대규모 프로젝트 성공리 준공
대한전선, 호주 시드니 대규모 프로젝트 성공리 준공- 나형균 사장, 발주처 Transgrid가 개최한 준공식 참석차 호주 방문- 시드니 전력 공급을 위한 1,400억 규모의 초대형 턴키 사업 완료- 호주 정부 주도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라 추가 수주 기대대한전선이 대규모 턴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준공하며, 우수한 사업 수행능력을 입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호주에서 진행된 ‘Powering Sydney’s Future(PSF)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무리하고, 현지 시각으로 20일 오전 10시에 열린 준공 기념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념식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사업 수행과 정상 운전을 축하하기 위해 발주처인 트랜스그리드(Transgrid)가 마련한 자리로, 뉴사우스웨일즈(NSW)의 비콘스필드(Beaconsfield)에 위치한 변전소에서 약 2시간 동안 진행됐다. 행사에는 나형균 사장과 오세아니아 본부장 등 대한전선 임직원과 트랜스그리드 및 현지 EPC인 Garde사(社) 등의 주요 경영진, 호주 지역 정치인 등 약 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설명과 주요 인사들의 기념사, 현장 순회 순으로 진행됐다. PSF 프로젝트는 향후 수십 년 동안 시드니 도심과 주변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지중 전략망을 새롭게 구축하는 난이도 높은 사업으로, 뉴사우스웨일즈(NSW)의 송전 전력청인 트랜스그리드가 수년 간 공들여 준비한 프로젝트다. 대한전선은 2019년 12월에 수주를 확정하고, 2020년 8월부터 올 6월까지 약 22개월에 걸쳐 사업을 진행했다. 호주에서 가장 높은 전압인 330kV급 전력망의 설계, 자재 납품, 시공, 상업운전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풀 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총 수주 규모가 1,400억 원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나형균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호주 최대 도시인 시드니의 미래를 위한 랜드마크적인 프로젝트를 대한전선의 기술력으로 완수하게 되어 큰 의미”라고 밝히며, “코로나19 팬데믹의 어려운 환경에서도 철저한 프로젝트 관리를 통해 대규모 사업을 기일 내에 안정적으로 수행해 낸 만큼, 앞으로 호주에서 진행될 전력망 프로젝트의 새로운 롤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호주는 가파른 인구 증가세로 국가 주도의 대규모 인프라 확장이 추진되고 있어, 지속적인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검증된 턴키 수행 능력과 차별화된 수주 전략으로 호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키워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전선은 2004년 33kV 케이블을 납품한 이후로 호주 132kV, 275kV 및 뉴질랜드 220kV 등 다양한 전력망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오세아니아 내에서 높은 신뢰도와 경쟁력을 확고히 구축해 오고 있다.
-
NEWS PR싱가포르에서 총 740억 규모 프로젝트 수주 성공
대한전선, 싱가포르에서 총 740억 규모 프로젝트 수주 성공- SP파워에셋이 발주한 싱가포르 최고 전압 400kV 턴키 프로젝트 등 2건 연달아 따내- 까다로운 시장으로 손꼽히는 싱가포르에서 유럽, 일본 등의 업체 제치고 수주- 전체 수주 잔고 동량 38,000MT(메트릭톤), 연초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대한전선이 연초부터 싱가포르에서 프로젝트를 연달아 수주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재확인했다.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싱가포르 전력회사인 SP파워에셋(SP PowerAssets)이 발주한 400kV 초고압케이블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주 금액이 약 5천만 달러(한화 약 600억)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해당 프로젝트는 싱가포르 남서쪽에 위치한 주롱 섬에 지중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으로, 대한전선은 400kV 초고압케이블 및 접속재 일체를 공급하고,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책임지는 풀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400kV 전력망은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전압으로,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술력과 품질에 대한 철저한 평가가 진행된다. 특히 이번 사업은 싱가포르에서 2016년 이후 5년여 만에 추진되는 400kV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한전선은 지난 25년간 싱가포르에서 쌓은 프로젝트 경험과 기술역량, 시공능력 등 종합적인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최종 계약자로 선정됐다.대한전선은 이 프로젝트 외에도 싱가포르 남단의 변전소에 설치될 약 1천2백만 달러(한화 약 140억) 규모의 66kV 고압 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도 수주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까다로운 시장으로 손꼽히는 싱가포르에서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유수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연이어 프로젝트를 수주했다는 점에서 대한전선의 입지와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각 국가의 인프라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한전선의 수주 확대가 지속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전선의 수주 잔고는 이번 수주를 포함해 동량 기준 38,000MT(메트릭톤)으로, 연초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이다. 대한전선은 기 확보한 수주 물량의 진행 촉진 및 신규 수주 확보를 통해 실적을 지속 개선하는 한편, 글로벌 확대 전략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
NEWS PR美 600억 수주 추가! 인프라 법안 통과에 수주 확대 기대
대한전선, 美 600억 수주 추가! 인프라 법안 통과에 수주 확대 기대- 이번 계약 포함해 美 올해 총 2,600억 원 수주 성공, 연간 역대 최대 예상- 인프라 투자에 따른 전력망 수요 증가, 수주 확대 위해 지속 투자 할 것- 미국 판매 법인 매출 2017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약 47%로 크게 성장 중대한전선이 미국에서 대형 수주를 따내며, 미국 전력 인프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에서 약 600억 원 규모의 전력망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9월, 420억 원 규모의 초고압 전력망 프로젝트를 수주한 이후 두 달 만에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가 수주한 것이다. 이로써 대한전선은 올해 미국에서만 총 2,600억 원에 이르는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게 됐다. 미국 진출 이후 가장 높은 수주고를 올렸던 2019년에 버금가는 규모로, 연말까지 추가 수주가 이어질 것을 감안하면 올해 수주 성과는 미국 진출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압급(MV : Medium Voltage)의 케이블을 2024년 10월까지 약 3년 간 공급하는 계약으로, 장기간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한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라 총 750억 원까지 매출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대한전선은 2017년 초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가 많은 미국을 전략 지역으로 선정하고, 매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기존에 운영 중이던 판매 법인과 서부지사에 더해 동부지사를 추가 설립하고, 전문 인력을 보강하는 등 현지 밀착 영업을 확대한 것이다. 그 결과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대한전선의 미국 판매 법인의 매출은 연평균 성장률 47%를 기록하며, 대폭 성장했다. 올해의 수주까지 감안했을 때,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지난 주 미국 하원을 통과한 바이든 정부의 1.2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 중 전력 인프라 투자에 약 730억 달러(한화 약 86조)가 책정되어 있는 만큼, 미국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대한전선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도 말했다. 아울러, “전력 인프라 외에 도로, 교량, 철도 등의 인프라 산업에도 케이블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수요 증가 폭은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국 시장에서의 수주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PR미국 420억 규모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 계약…수주 확대 지속
대한전선, 미국 420억 규모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 계약… 수주 확대 지속- 이번 계약 포함해, 4월 이후 미국서 10건 이상 수주, 연간 누계 1,900억 원 달성-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에 따른 전력망 수요 증가로, 수주 기회 확보- 초고압, 중저압, 가공선에 광통신 및 해저케이블까지 제품군 확대 예정대한전선이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수주고를 올리며,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미국 캘리포니아 전력회사로부터 420억 원 규모의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2028년 LA올림픽 등으로 급증하게 될 전력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LA 지역에 275kV급 초고압 지중 전력망을 구축하는 대규모 사업이다.이번 프로젝트를 포함해, 대한전선은 올해 미국에서 1,900억 원의 수주고를 달성했다. 특히 4월 이후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뉴욕 등에서 10건 이상의 프로젝트를 신규 수주하며, 미국 내 주요 공급사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69~275kV의 초고압케이블부터 중저압, 가공선까지 다양한 품목을 수주함에 따라,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미국의 전력 인프라 수요는, 노후 전력망 교체 및 신재생 에너지 확충에 따라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지난 8월 미국 상원을 통과한 바이든 정부의 1.2조 달러 인프라 투자 예산안에 730억 달러 규모의 전력망 개선안이 포함되면서, 수요 확대가 가속화 될 전망이다. 대한전선은 미국 전력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사업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력제품인 초고압케이블부터, 내년 이후 생산될 광통신 케이블 및 해저 케이블까지 수출 품목을 지속적으로 늘려간다는 방침이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미주 본부를 중심으로 동/서부 지사가 사전 마케팅 활동 및 기술 지원을 통해 고객 맞춤 솔루션을 제공한 것이 성과의 배경”이라고 설명하며, “탄탄한 네트워크와 영업력을 기반으로 주요 공급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부양책으로 산업 전반에서 전력망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시장의 요구에 적극 대응해 수주 기회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무역협회(KITA)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으로 수출된 국내 초고압 케이블 전체 물량 중 85%를 대한전선이 공급했다. 2019년에는 79%, 2018년에는 98%의 점유율을 기록한 바 있다.
-
NEWS PR카타르에서 대규모 턴키 공사 수주하며 경쟁력 입증
대한전선, 카타르에서 대규모 턴키 공사 수주하며 경쟁력 입증 - 카타르 정부 주도의 초대형 담수복합발전소인 ‘퍼실리티-E’ 송전 시스템 확충 공사 - 카타르 전력망 최고 전압인 400kV를 포함해 모든 전압의 송전망 공급- 우선 공급 물량(277억)과 추후 공급 물량(1,186억)을 포함 총 1,463억 규모 대한전선이 대규모 턴키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호반그룹으로의 편입 이후 의미있는 성과를 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카타르 국영 수전력청(Kahramaa)과 퍼실리티-E(Facility-E) 송전 시스템 확충 공사를 계약했다고 11일 밝혔다. 전체 물량 중 우선 공급 물량은 277억 원 규모이며, 추후 공급 물량인 1,186억 원 규모의 후속 구간을 포함하면 총 계약 금액은 1,463억 원에 달한다. 1,186억 원 규모의 후속 공급 물량의 정확한 금액과 기간은 1년 이내에 확정될 예정이다. 카타르 퍼실리티-E(Facility-E)는 2,600MW(메가와트)의 전력과 1억 3000만 톤의 담수를 생산하는 대규모 담수복합발전소로, 총 사업비가 30억 달러에 이르는 카타르 정부의 중요 사업이다. 대한전선은 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카타르 전 지역에 공급하기 위해 신규 전력망을 구축하는 핵심 사업을 수행한다. 제품 공급뿐 아니라 전기 및 토목 공사, 준공시험까지 풀 턴키(Full Turn-key)로 진행되는 프로젝트다. 카타르 지중 케이블 중 최고 전압인 400kV를 포함해 220kV, 132kV까지 모든 송전급의 전력망 공사가 포함된다. 이는 대한전선의 초고압 케이블 분야 전반에 대한 기술력과 턴키 프로젝트 수행 능력의 우수성이 종합적으로 검증 받은 결과다. 실제로 카타르는 다른 중동 지역에 비해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최고 등급인 400kV의 경우에는 더욱 까다로운 심사가 진행된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유럽, 일본 등 유수의 글로벌 업체들과의 치열한 각축전에서, 카타르 정부의 중요 사업인 퍼실리티-E 프로젝트를 수주한 것은 대단히 의미있는 성과”라고 밝히며,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한 랜드마크적인 사업의 수주는, 대한전선이 기술력과 품질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카타르는 국가발전 전략인 ‘국가비전 2030’ 등을 통해 각종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는 시장으로, 모기업인 호반그룹과의 시너지 창출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PR미국에서 1분기에 약 700억 수주고 달성
대한전선, 미국에서 1분기에 약 700억 수주고 달성 - 미국 동/서부에서 고르게 수주, MV부터 EHV까지 제품 다각화- 고객 니즈 발굴 전략으로 2020년에 2,070억의 매출 올리며 성장 -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계획으로 케이블 수요 확대 전망 대한전선이 미국에서 잇달아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경쟁력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나형균)은 6일, 미국에서 1분기에 700억 원의 수주고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동부의 뉴욕과 펜실베니아, 서부의 캘리포니아, 아이다호 지역 등에서 고르게 수주 성과를 달성했다. 제품군도 MV(중압) 케이블부터 345kV의 EHV(초고압) 케이블 및 접속재까지 다양하다. 가장 돋보이는 성과는 3월에 뉴욕에서 수주한 약 140억 원 규모의 138kV 케이블 프로젝트다. 맨홀과 관로 등 기존 인프라를 유지하면서 케이블 및 시스템을 교체하는 특수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40년 이상 노후화된 전력 인프라가 산재한 미국 도심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캘리포니아에서 2월과 3월에 수주한 2건의 MV급 프로젝트도 3년 동안 케이블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수주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대한전선은 기존 제품 중심의 영업에서 탈피했다는 점을 꼽았다. 고객 니즈를 발굴해 솔루션을 제시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를 통해 2015년에 430억 원 규모였던 미국 시장 연간 매출은 2020년에 2,070억 원 규모로 5배 가량 성장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대한전선만의 영업 전략 및 기술력으로 미국에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계획 및 신재생에너지 정책 등과 관련해, 미국 내 케이블 수요가 급속도로 확대 될 전망”이라며 “주요 도시들이 밀집한 동/서부에서 성과를 내 온 대한전선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전선은 지난 달, 미국의 5대 전력 회사인 PG&E의 품질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며 제품 및 기술의 우수성을 검증받은 바 있다.
-
NEWS PR영국 런던에서 925억 대형 프로젝트 수주
유럽 진출 3년 만에 성과 본격화대한전선, 영국 런던에서 925억 대형 프로젝트 수주- 국내 업체가 영국에서 수주한 전력망 프로젝트 중 역대 최대 규모- 수도 런던의 전력망 재구축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의 계약자로 선정- 영국 전력회사 내셔널그리드 발주, 영국 지중 최고 전압인 400kV 공급대한전선의 초고압케이블이 전력 산업의 본고장인 영국 런던의 도심을 가로지른다.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나형균 사장)은 24일 공시를 통해 영국의 국영 전력회사인 ‘내셔널그리드 (National Grid)’와 ‘런던 파워 터널 2단계(London Power Tunnels 2, 이하 LPT2)’ 프로젝트의 전력망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금액이 한화 약 925억 원(약 6천만 GBP)인 대형 프로젝트로, 국내 전선업체가 영국에서 수주한 전력망 프로젝트 중 역대 최대 규모다. 대한전선이 유럽 시장에 진출한 이후 수주한 프로젝트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다. LPT2 프로젝트는 런던 전역의 전력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내셔널그리드가 수년 동안 추진해 온 핵심 사업이다. 런던 남서부의 윔블던(Wimbledon)에서 남동부의 크레이포드(Crayford)까지 도심을 가로지르는 약 32.5km 길이의 대규모 지하 터널을 건설하고 400kV 전력망을 설치하는 공사로, 투입되는 케이블 길이만 200km가 넘는다. 대한전선은 400kV 케이블과 접속재 등 관련 자재 일체를 공급하고 터널 내외부 케이블 시스템 설계와 엔지니어링 등을 일괄 담당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영국의 지중 최고 전압인 400kV 전력망으로 런던의 전력 인프라를 재구축하는 사업인만큼, 1년 이상의 입찰 과정과 까다로운 업체 평가 및 선정 작업이 수반되었다. 제품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및 프로젝트 관리 능력 등 전 영역에 대해 종합적이고 면밀한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대한전선은 유럽의 유수 전선업체와의 경쟁에서 적격자로 선정되었다. 나형균 사장은 "런던의 대대적이고 장기적인 인프라 개선 사업에 대한전선이 큰 역할을 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히며,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영국에서 까다로운 검증 과정을 거쳐 중요 프로젝트를 수주한 것은, 유럽 전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입지를 입증한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럽은 노후한 케이블의 교체 수요가 많고,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른 신규 전력망 공급 기회가 열려 있어 향후 지속적인 수주 확대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대한전선은 본격적인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2017년 4월에 영국 지사를 설립하고 전문인력을 배치했다. 2019년에는 기존의 러시아 지사와 합쳐 유럽 본부로 조직을 확대개편하는 한편, 네덜란드 법인을 신설하며 영업망을 확대했다. 유럽 진출 3년이 지난 현재 대한전선은 스웨덴, 네덜란드, 덴마크, 영국 등에 초고압 전력망을 수출하며, 유럽에서의 수주 영토를 확장하고 성과를 본격화하고 있다.
-
NEWS PR초고압 케이블 해외 프로젝트 수주 순항 중
대한전선, 초고압 케이블 해외 프로젝트 수주 순항 중- 네덜란드, 싱가포르, 카타르에서 초고압 프로젝트 연이어 수주- 각국 전력청 발주, 총 6,300만 달러(한화 약 750억 원)규모 수주대한전선이 해외 시장에서 초고압 전력망 프로젝트 수주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집행임원 나형균)은 네덜란드, 싱가포르, 카타르에서 초고압케이블 공급 프로젝트를 연달아 수주했다고 27일에 밝혔다. 세 프로젝트는 모두 각국의 전력청이 발주한 것으로, 총 6,300만 달러(US 달러 기준 / 한화 약 750억 원) 규모다. 네덜란드에서 수주한 프로젝트는 남부 해안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의 원활한 송전을 위해 네덜란드 최고 전압인 380kV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공사다. 약 1,300만 달러 규모로, 지난해 초 네덜란드 수출의 첫 포문을 연 이후 두 번째 수주다. 2017년에 유럽 지사를 설립한 이후 영국, 덴마크 등에서 초고압 전력망 공사를 수주하며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싱가포르에서는 주롱 아일랜드 외곽지역의 기 설치된 케이블을 신규로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약 2,000만 달러 규모로, 230kV 초고압 케이블 및 접속 자재를 공급한다. 중동에서 가장 높은 기술력과 품질이 요구되는 국가인 카타르에서도 약 3,000만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수주를 추가했다. 카타르 최초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것으로, 220kV 초고압 전력망 구축 공사를 턴키 방식으로 수행한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해외 수주가 진행되고 있다”며, “대한전선 제품과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대해 고객사의 신뢰가 높고, 어려운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이어간 것이 수주의 동력이 되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력망 구축 산업이 국가 기간 산업인 만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주 및 프로젝트 수행을 이어 나가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