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초고압 케이블
-
NEWS PR美서 1,300억 수주 쾌거… 주요 공급자로 입지 강화
대한전선, 美서 1,300억 수주 쾌거… 주요 공급자로 입지 강화- 초고압, 중저압 등 3건의 전력망 프로젝트 연이어 수주- 올해 미국에서만 총 3,300억 신규 수주 확보, 역대급 수주 전망- 미국 전역의 주요 전력청에 경쟁력 입증하며 빠르게 시장 확대대한전선이 미국 전력망 시장의 주요 공급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미국에서 3건의 전력망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했다고 18일에 밝혔다. 총 수주 금액은 약 1,300억 원에 달한다. 이로써 대한전선은 올해 미국에서만 약 3,300억 원 이상의 신규 수주를 달성하게 됐다. 이는 미국 진출 후 가장 높은 성과를 냈던 2022년 연간 누적 수주(약 4,000억 원)의 80%를 상회하는 결과다. 미국의 전력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올해 미국에서 역대급 수주가 전망된다. 이번에 수주한 3건의 프로젝트는 초고압 프로젝트 1건, 중저압 프로젝트 2건이다. 약 450억 원 규모의 초고압 프로젝트는 미국 동부에서 진행되는 사업으로, 뉴욕주(州)에 신규로 건설되는 반도체 공장에 345kV급 전력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자재 공급부터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책임지는 풀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수행한다. 반도체 공장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대한전선의 높은 기술력과 프로젝트 운영 능력이 업체 선정에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2건의 중저압 프로젝트는 서부 캘리포니아주(州) LA지역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총 850억 원 규모다. 이 중 한 건은 3년 동안 중저압 케이블을 공급하는 장기 프로젝트로, 대한전선 제품에 대한 고객사의 높은 신뢰가 수주의 배경이 됐다. 대한전선은 전력산업의 슈퍼 사이클을 주도하는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 미국 동서부의 주요 도시에서 진행되는 신규 전력망 구축 및 신재생 연계 프로젝트, 노후 전력망 교체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을 수주하며 실적을 쌓아가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미국에서 쌓아온 품질과 기술에 대한 신뢰 덕분에, 글로벌 업체들과의 치열한 각축전에서 연이어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는 것”이라고 전하며,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돼 있는 만큼, 현지 생산 거점 확보 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더 많은 사업 기회를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
NEWS PR영국서 3800만 달러 초고압 전력망 공급.. 글로벌 경쟁력 입증
<사진 1. 대한전선이 영국 현장에서 초고압 케이블을 포설하고 있다 > 대한전선, 英서 3800만 달러 초고압 전력망 공급.. 글로벌 경쟁력 입증- 글로벌 기업 발포어 비티와 영국 북부 지역에 전력망 구축- AI 및 반도체, 신재생 증가 등으로 글로벌 전력망 호황기 도래- 신규 전력망 부족한 유럽, 미국 등에서 수주 이어갈 것 대한전선이 유럽, 미주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글로벌 인프라 그룹인 발포어 비티(Balfour Beatty)에 초고압 전력망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전체 금액은 약 3,800만 달러 규모다. 해당 프로젝트는 영국 북부 지역에 132kV급 신규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노후되어 있는 가공선을 지중선으로 변경해 전력 공급의 안정화와 송전 용량 확대를 도모한다. 대한전선은 지난해 11월에 발포어 비티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상호협력해 왔다. 이번 프로젝트 역시 이 MOU의 일환이다. MOU를 통해 양 사는 2030년까지 영국 내에서 진행되는 2억 2천만 파운드(약 2억 8천만 달러) 이상의 송배전망 프로젝트 입찰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기술 공유 및 제품 개발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대한전선은 발포어 비티와의 MOU 직후 약 2,700만 달러 규모의 400kV급 초고압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계약하며 첫 성과를 낸 바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그 이후 두번째 성과로, 양 사는 향후에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발포어 비티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인프라 그룹으로, 연 매출이 15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회사다. 대한전선이 400kV급 전력망 일체를 공급하는 LPT2(London Power Tunnels 2) 프로젝트를 포함해, 대규모 전력망 사업의 EPC(설계, 조달, 시공)를 수행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영국을 포함해 유럽 전역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기 사용량 증가 등으로 신규 전력망에 대한 공급 기회가 많은 지역”이라고 설명하며, “유럽 뿐 아니라, 미국, 중동 등 인구 증가 및 AI(인공지능)와 반도체 성장에 따라 신규 전력망이 부족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영업력을 강화해 수주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NEWS PR초고압 해저케이블 국제 인증 성공! 국내외 수주 기회 “활짝”
< 사진 1. 154kV 해저케이블 샘플 > < 사진 2. 154kV 해저케이블 관련 그래픽 > 대한전선, 초고압 해저케이블 국제 인증 성공! 국내외 수주 기회 “활짝” - 해상풍력 외부망에 주로 사용되는 154kV 해저케이블 개발 - 공고한 네트워크과 시장의 신뢰 기반으로 빠르게 성과 낼 것 대한전선이 해저케이블 사업 확대에 성과를 내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154kV급 초고압 해저케이블 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하고, KEMA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KEMA는 네덜란드의 공인 시험 기관으로 전기 안전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공신력이 높다. 대한전선은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국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해저케이블 프로젝트에 입찰 참여의 기회를 확보하게 됐다. 154kV급 해저케이블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외부망(Export Cable)에 주로 사용된다. 실제로 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 등을 포함해 국내에서 진행되는 다수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외부망이 154kV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 전압의 케이블은 육지 및 대륙 간의 전력망을 연결하는 Interconnection의 용도로도 주로 사용되고 있어, 사업 참여의 기회가 많다. 향후에는 해상풍력 발전단지 대형화와 발전 용량 증가 추세에 따라 내부망(Inter Array Cable)에도 154kV급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내부망은 해상풍력 발전 단지 내 터빈과 터빈, 터빈과 해상 변전소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대한전선은 2025년에 준공되는 해저케이블 1공장에서 154kV 등 초고압 해저케이블을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당진시 고대부두에 건설 중으로, 해상풍력 발전 단지에 사용되는 내부망과 외부망의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케이블 사업에서 수십 년간 쌓아온 공고한 네트워크와 시장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사전 영업을 통해 해저케이블 분야에서 빠르게 수주 기회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며,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에 매진해 345kV 해저케이블 및 HVDC 해저케이블 등에서도 조속한 성과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전선은 지난 12월 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약 1,000억 원 규모의 내부망을 수주하며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 준공 전에 조기 성과를 냈다. 영광낙월 프로젝트는 최근 한국남부발전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계약을 체결하며 사업 추진을 본격화하고 있다.
-
NEWS PR남아공 생산 법인 M-TEC, 설비 고도화 추진
대한전선의 남아공 생산 법인 M-TEC, 설비 고도화 추진- 남아공에서 수요 집중된 MV/LV 케이블의 생산 설비 투자로 경쟁력 확대- 아프리카 진출을 위한 중요한 전진 기지로, 지속적으로 경쟁력 보강할 것대한전선이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경쟁력 확대에 나섰다. 대한전선(대표이사 나형균)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위치한 케이블 생산 법인 M-TEC(엠텍)의 생산 설비 고도화를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앞선 11일 엠텍 이사회가 대한전선 본사에서 정기 이사회를 열고, 케이블 생산 설비에 대한 신규 투자를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엠텍은 이번 투자를 통해, MV/LV(중저압) 케이블 생산 설비를 최신화한다는 계획이다. MV/LV 케이블은 남아공 지중 전력 시장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수요가 집중되어 있는 케이블로, 남아공의 전력 안정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제품이다. 지난 7월 남아공 대통령이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한 전력 인프라 확장에 대한 계획을 밝힘에 따라,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엠텍은 케이블 생산의 핵심 공정인 절연(絶緣) 공정을 진행하는 CCV(Catenary Continuous Vulcanization : 현수식 연속 압출 시스템) 라인을 증설하고, 남아공의 취약한 보안 환경에 대비해 도체 표면을 특수 처리하는 생산 라인도 보강한다. 투자는 2023년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엠텍은 이번 MV/LV 케이블의 핵심 설비 증설로 기존 대비 약 3배 이상의 생산 효율을 확보하고, 제품 및 가격 경쟁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기존 주력제품인 통신선, 가공선에 전력선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면서 종합전선회사로서의 지위를 갖추고, 현재 약 10%의 시장 점유율을 2025년까지 25% 이상으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M-TEC은 아프리카 진출을 위한 중요한 전진 기지로, 이번 설비 투자를 통해 남아공 내에서의 매출 증대는 물론 인근 국가로의 수출 확대까지 기대된다”며 “기존 해외 법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신규 생산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증진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 M-TEC(엠텍)은 대한전선이 2000년에 투자해 설립한 남아공 합작 법인으로, 각종 전력케이블과 통신케이블 등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약 9만㎡ 규모에 5개 동으로 이뤄진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약 35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
BUSINESS 성공사례신덕은-수색 증용량 가공선(ACCC) 프로젝트
한국전력공사(KEPCO)가 국내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발주한 프로젝트입니다. 대한전선은 서울/경기 서부 지역에 설치된 154kV 송전선로의 송전용량을 확대하기 위해 ACCC 가공선 75km를 공급하였습니다.
-
BUSINESS 솔루션전력 송배전
전기의 안정적인 수송을 위해서는 완벽한 송배전 인프라가 필수입니다. 대한전선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변전소로 보내는 송전부터, 산업 및 주거 단지에 전기를 전달하는 배전까지. 전력 공급망 전체를 아우르는 세계 최고 수준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초고압케이블, 중저압케이블, 전력기기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어떠한 환경에서도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대한전선은 초고압 분야에서 뛰어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 아시아, 중동, 미국, 오세아니아 등 세계 주요 시장의 굵직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고객들로부터 품질과 기술력을 입증 받고 있습니다.
-
BUSINESS 솔루션해상풍력
해상풍력 시장은 에너지 대전환 시대를 맞아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한전선은 해상풍력 산업에서의 게임 체인저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해저케이블 전용 생산 공장을 구축하였고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용 포설선(CLV)을 확보하였습니다. 턴키 역량을 확보한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소수에 불과한 만큼, 급성장하는 해저케이블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BUSINESS 솔루션플랜트
공장, 발전소, 산업단지 등의 플랜트는 국가 기간 산업과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제조 생산성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해 고도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플랜트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했습니다. 대한전선은 전력과 데이터 공급, 공장 운용 등 플랜트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지원합니다.
-
BUSINESS 제품초고압 XLPE 케이블
가교폴리에틸렌(XLPE)는 가교반응에 의해 화학구조가 변형된 폴리에틸렌(PE)으로, 90℃ 높은 허용 운전 온도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XLPE의 단점으로 꼽히는 수트리(Water tree) 문제가 개선되면서, 초고압 뿐 아니라 다양한 전압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재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BUSINESS 제품초고압 OF 케이블
유입(Oil-filled) 지절연 케이블은 역사가 100년이 넘은 케이블로, 저점도 절연유로 함침된 절연지를 절연체로 사용합니다. 대기압 이상으로 압력을 가합으로써 절연체 내 Gap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매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