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검색
#실적
-
NEWS PR상반기 매출 1조 7천억 넘어서… 사상 최고 기록
사진. 대한전선의 기업 설명회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전선, 상반기 매출 1조 7천억 넘어서… 사상 최고 기록- 2분기 매출 9천억 돌파, 수주잔고도 2.9조로 역대 최고 수준- 2024년 4분기 기점으로 3개 분기 연속 매출, 영업이익 증가세 - 초고압 프로젝트 매출 실현 및 해외법인 성과가 실적 견인- 기업설명회 열고 해저케이블 사업 현황 및 경쟁력 등 강조 대한전선이 상반기 매출이 1.7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31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상반기 매출 1조 7,718억 원, 영업이익 55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1조 6,529억 원에서 7.2% 증가한 성과로, 사상 최고 실적이다. 2분기 매출은 9,164억 원, 영업이익은 286억 원을 달성했다. 직전 분기인 1분기 대비 매출은 7.1%, 영업이익은 5.4% 확대된 성과다. 2024년 4분기를 기점으로 3개 분기 연속 매출 및 영업이익이 동시에 증가한 실적으로,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분기 매출이 9천억 원을 돌파한 것은 2010년 3분기 이후 약 15년 만의 호실적이다. 대한전선은 이번 실적의 배경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 및 매출 실현을 꼽았다. 실제로 대한전선은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초고압케이블 프로젝트를 다수 수주했으며, 상반기 말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인 약 2조 9천억 원의 수주 잔고를 기록하고 있다.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생산 및 판매 법인도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독일, 네덜란드 중심의 유럽 판매 법인과 남아공 엠텍(M-tec) 등의 생산 법인의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프로젝트가 일시적으로 집중된 점과 신규 제품 개발 등으로 인해 비경상 일회적 비용이 발생한 영향 등으로 지난해에 비해 다소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지난해 상반기에 사상 최고치의 영업이익(662억 원)을 달성한 것을 감안하면,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대한전선은 기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해 2분기 실적의 주요 내용과 주요 현안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수준의 해저케이블 사업 경쟁력을 강조하며,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등을 비롯한 국내외 주요 해저케이블 프로젝트 참여를 본격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관세 부과에 대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심층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노후 전력망 교체 등 견고한 수요를 기반으로, 해저케이블 및 HVDC 케이블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수주를 확대할 것”이라며, “실적 개선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는 물론, IR 활동 확대로 주주 및 이해 관계자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며 글로벌 전력 인프라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최근 5개년 상반기 연결 실적 (단위 : 억 원) 구분 2021년 상반기 2022년 상반기 2023년 상반기 2024년 상반기 2025년 상반기 실적 증감율 매출 8,897 12,278 14,583 16,529 17,718 7.2%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41 (0.5%) 258 (2.1%) 417 (2.9%) 662 (4.0%) 557 (3.1%) -15.9% ◎ 최근 5개년 연결 실적 (단위 : 억 원)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상반기 매출 19,977 24,505 28,440 32,913 17,718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395 (2.0%) 482 (2.0%) 798 (2.8%) 1,152 (3.5%) 557 (3.1%)
-
NEWS PR한기평 신용등급 ‘A’로 상향… 국내 3대 신평사 모두 A 부여
대한전선, 한기평 신용등급 ‘A’로 상향… 국내 3대 신평사 모두 A 부여- 나신평, 한신평 이어 한기평도 ‘A’로 상향, 등급전망은 ‘안정적’- 수익성 개선과 사업 안전성, 견조한 재무 구조 등 긍정 평가-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수주성과 기반의 성장 기조 유지 전망대한전선이 국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신용등급 A를 획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23일 한국기업평가(이하 한기평)로부터 기업신용등급(ICR) A, 등급전망 안정적(Stable)을 부여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A-, 긍정적(Positive)’에서 한 단계 상향된 결과다. 이번 한기평의 등급 상향으로 대한전선은 국내 3대 신용평가사 모두로부터 A 등급을 부여받으며, 실적 성장세와 재무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지난 6월에는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7월 10일에는 한국신용평가로부터 A 등급을 각각 획득한 바 있다. 한기평은 이번 등급 부여의 배경으로 △매출과 이익규모 확대 △안정적인 재무구조 유지 △양질의 수주를 바탕으로 영업실적 개선 예상 등을 꼽았다. 23일 보고서 공개를 통해, “우호적인 사업환경 하에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수주성과에 기반하여 수익성이 개선되고 영업현금 창출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사업 확장 과정에서 투자 자금 소요가 늘어날 전망이나, 재무완충력과 영업현금창출력을 통해 재무안정성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 유럽 등 세계 각 지역 고객으로부터 신규 수주를 확보해, 과거 대비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는 등 수주잔고가 양적, 질적으로 모두 개선됐다”며, “국내외 케이블 납품 및 프로젝트 수행 이력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신규 수주를 꾸준히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국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획득한 것은 당사의 사업 성장성과 재무 안정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해저케이블 및 HVDC 케이블 분야에서의 사업 확장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
NEWS PR한신평 신용등급 ‘A’로 상향… ‘수익성 및 재무 안정성 입증’
당진케이블공장 전경 사진대한전선, 한신평 신용등급 ‘A’로 상향… ‘수익성 및 재무 안정성 입증’- 나신평 이어 한신평도 A등급 부여, 등급전망 안정적(Stable) 유지- 매출 및 영업 수익성 개선과 사업 안전성, 견조한 재무 구조 등 긍정 평가- 호반그룹 편입 이후 견고한 재무 구조 유지 및 안정적인 사업 환경 구축대한전선이 상향된 신용등급을 획득하며, 사업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로부터 기업신용등급(ICR) ‘A’와 등급전망 ‘안정적(Stable)’을 부여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2023년의 ‘A-, 안정적(Stable)’에서 한 단계 상향된 결과다. 한신평은 이번 등급 부여의 배경으로 △안정적 사업기반 △외형 성장과 안정적인 수익성 △개선된 재무구조 등을 꼽았다. 10일 보고서 공개를 통해, “대한전선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품목인 해저케이블, 광케이블 사업 확장 등 추가적인 제품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원재료인 전기동의 가격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수직계열화 된 생산구조 등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호반그룹에 인수된 이후 재무적 지원과 유상증자를 통해 재무구조가 개선되었고, 유상증자 자금 및 영업에서 창출하는 현금흐름으로 재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싱가포르, 영국, 스웨덴 등 해외시장에서의 신규수주 확대로 수주잔고가 증가세라고 설명하며, “연결기준 순차입금이 2021년 말 4,567억원에서 2025년 3월 말 (-)1,261억원까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번 평가는 등급전망(Outlook)을 조정하는 과정없이 신용등급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는 향후 상향 가능성을 예고하는 의미로 등급전망을 먼저 ‘긍정적(Positive)’으로 조정한 뒤 신용등급을 상향하지만, 한신평은 등급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채 곧바로 신용등급을 상향하며 대한전선의 높아진 대외 신인도를 반영했다. 이에 앞선 6월에는 나이스신용평가도 대한전선의 신용등급을 작년과 동일한 ‘A(Stable)’로 유지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로써 대한전선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 두 곳으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확보하며, 실적 성장세와 재무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당사의 견조한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경쟁력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특히, 해저케이블, HVDC 케이블 시스템과 같이 성장성이 높은 제품군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긍정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지속적인 사업 확대와 책임 있는 경영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기업신용등급(ICR : Issuer Credit Rating)은 기업의 전반적인 사업수익성 및 채무 상환 능력을 등급화한 것으로, 회사의 대외 신인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대한전선은 호반그룹에 편입된 이후 견고한 재무 구조와 사업 환경을 구축함에 따라 기업 및 고객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해당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NEWS PR1분기 매출 첫 8천억 돌파… 수주 잔고 2.8조 지속
대한전선의 기업 설명회가 진행되고 있다대한전선, 1분기 매출 첫 8천억 돌파… 수주 잔고 2.8조 지속- 매출 8,555억 원, K-IFRS 도입 이후 1분기 역대 최대 - 해외 시장 중심의 신규 수주 확대로 높은 수주 잔고 지속- 기업설명회 열고 美 관세 대응, 해저케이블 사업 추진 경과 등 공유 대한전선이 글로벌 수주 확대에 힘입어 실적 개선을 이어가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30일 잠정 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25년 1분기 매출 8,555억 원, 영업이익 27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동기 7,885억 원에서 8.5% 확대됐고, 영업이익은 288억 원에서 소폭 감소하며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이번 1분기 매출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해 연결 분기 실적을 측정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의 1분기 실적 중 최고치다. 전통적으로 전선 및 에너지 업계의 비수기로 여겨지는 1분기에 매출 8천억 원을 상회하는 성과를 낸 것으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직전 분기인 2024년 4분기와 비교해도 실적 개선세는 유지되고 있다. 지난 분기 매출 8,340억 원, 영업이익 218억 원에서 각각 2.6%, 24.3% 증가한 성과를 거두었다. 대한전선은 이날 기관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1분기 실적과 주요 현안을 설명하는 자리도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실적 호조의 주요 요인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 및 해외 법인의 실적 개선을 꼽았다. 대한전선은 지난 해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국가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연이어 확보하며, 1분기 기준 2조 8천억 원 이상의 수주 잔고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수주 잔고인 9,455억 원 대비 약 3배가 넘는 수준으로, 미국과 유럽 지역의 고수익 프로젝트 비중이 전체 수주 잔고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대한비나(Taihan Vina), 남아공 엠텍(M-TEC) 등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생산 및 판매 법인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며,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대한전선은 기업설명회에서 미국 관세와 관련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회사 관계자는 “대한전선은 현지 업체 대비 우월한 기술 역량과 안정적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주요 전력청의 선호도가 높다”며, “특히 초고압 케이블 시스템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확고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기술 우위를 기반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 추진 경과를 공유하며, 최근 제기된 이슈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일부에서 해저케이블 공장 레이아웃과 관련해 조단위 손해배상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다”며, “대한전선은 경쟁회사의 영업비밀을 침해한 바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법리와 판례, 당사의 공장 건설 현황 상 조단위 손해배상은 성립이 불가능하다”며, “기술 개발에 투입된 비용이 손해액으로 직결되지 않으며, 아직 완공되지 않은 당사의 공장과 경쟁사의 전체 공장을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한전선은 해저케이블 1, 2공장 중 현재 1공장 1단계를 가동 중이며, 1공장 종합 준공은 올해 상반기에 예정돼 있다. HVDC 해저케이블을 생산하는 2공장은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법적 판단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나 소문으로 기업의 정상적인 사업 활동을 저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산업 경쟁력과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자제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대한전선은 글로벌 시장에서 초고압(EHV) 케이블뿐 아니라 MV/LV(중저압) 케이블 및 가공선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성과를 거두며 기술력과 품질을 입증하고 있다”며, “해저 및 HVDC 케이블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 확대와 수주를 통해 실적을 지속 개선하고 수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전년 대비 (단위 : 억 원) 구분 2024년 1Q 2025년 1Q 증감율 매출 7,885 8,555 8.5%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88 (3.7%) 271 (3.2%) -5.9% ◎ 최근 연간 실적 (단위 : 억 원)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매출 15,968 19,977 24,505 28,440 32,912 8,555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566 (3.5%) 394 (2.0%) 482 (2.0%) 798 (2.8%) 1,152 (3.5%) 271 (3.2%)
-
NEWS PR올해 첫 기업설명회 개최… “24년 신규 수주 3.7조, 최고치”
사진. 대한전선의 기업 설명회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전선, 올해 첫 기업설명회 개최… “24년 신규 수주 3.7조, 최고치”- 2024년 역대급 경영 실적 및 사업 환경 등 설명 - 기업 및 주주가치 제고 위해 IR 확대 방안 검토 대한전선이 기업설명회를 통해 경영 실적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지난 5일 여의도에 위치한 NH금융타워에서 기관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했다고 6일에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투자자에게 회사의 실적과 추진 사업에 대해 안내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등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 자료는 일반 투자자와 행사 미 참석자를 위해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대한전선은 설명회에서 지난해 사업부별 실적과 해외 지역별 매출에 대해 안내하는 한편, 역대급의 신규 수주 성과와 잔고에 대해서도 밝혔다. 대한전선은 2024년에 약 3조 7천억 규모의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2023년 1조 8천억 대비 두 배 이상의 성과를 달성했다. 연말 기준 수주 잔고는 2조 8천억 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63% 증가한 결과다. 대한전선은 안정적인 재무현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2021년 266%였던 부채비율은 2024년말 기준 77%로 낮아졌으며, 유동비율 193%, 차입금 의존도 30%를 유지하며 건전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해저케이블 1공장 건설 추진 현황과 2공장 건설 계획 등에 대해서도 밝혔다. 대한전선은 올 상반기 1공장의 종합준공을 완료하는 한편, 2027년에 2공장의 가동을 시작해 확대되는 해저케이블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대한전선은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적극적으로 IR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 기업설명회, 당진케이블공장 방문 등 다섯차례에 걸쳐 공식 기업설명회를 진행했으며,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소통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업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노재준 재무관리실장은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노후전력망 교체 등의 전력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됨에 따라 올해에도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예상된다"고 밝히며, “글로벌 전선 업황 호황에 따라 회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미래 비전과 사업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시장과 주주와의 긴밀한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IR 활동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NEWS PR매출 3조 돌파… 영업이익도 1100억 넘기며 역대급 실적 달성
대한전선, 매출 3조 돌파… 영업이익도 1,100억 넘기며 역대급 실적 달성-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가 실적 견인- 연결기준(잠정) 전년 대비 매출 15%, 영업이익 44% 증가- 본업인 케이블 & 솔루션 사업만으로 거둔 사상 최대 실적대한전선이 역사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2024년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조 2,820억 원, 영업이익 1,146억 원, 당기순이익 730억 원을 달성했다고 5일 공시했다. 매출은 2023년도에 2조 8,440억 원에서 15.4%, 영업이익은 798억 원에서 43.6% 증가한 결과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도 719억 원에서 1.6% 증가했다. 매출이 3조 원을 돌파한 것은 2011년 이후 13년 만이다. 영업이익도 2007년 이후 처음으로 1,100억 원을 초과하며 매출, 영업이익 모든 측면에서 역대급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이번 실적은 대한전선의 본업인 케이블 & 솔루션 사업으로만 거둔 사실상 사상 최대 실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10년 전후 건설, 통신 등 다수의 비(非) 주력 계열사를 보유했던 대한전선은 현재 케이블 관련 사업에 집중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번 실적 호조의 요인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와 매출 증가로 분석된다. 실제로 대한전선은 지난해 미국에서만 약 7,300억 원의 신규 수주를 달성했으며,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된 500kV HVAC(초고압교류송전) 케이블 시스템뿐 아니라 차세대 전력 기술로 손꼽히는 HVDC(초고압직류송전) 케이블 시스템 수주에도 성공했다. 유럽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영국, 스웨덴 등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시장에서 주요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싱가포르에서도 초대형 사업 기회를 확보하는 등 지난해 4분기에만 1조 7천억 원의 신규 수주고를 올렸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당사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전력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글로벌 현지 법인과 지사를 활용한 신규 시장 개척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와 해저케이블, HVDC 케이블 등 전략 제품의 수주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 가치를 지속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전선은 이날 기관투자자와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4분기 실적과 향후 경영 환경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전년 대비 (단위 : 억 원)구분2023년2024년(잠정)증감율매출28,44032,82015.4%영업이익(영업이익률)798(2.8%)1,146(3.5%)43.6%당기순이익7197301.6% ◎ 최근 연간 실적 (단위 : 억 원)구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2024년 (잠정)매출15,54715,96819,97724,50528,44032,820영업이익(영업이익률)332(2.1%)566(3.5%)394(2.0%)482(2.0%)798(2.8%)1,146(3.5%)당기순이익-12626289218719730
-
NEWS PR3분기 실적발표, 영업이익 272억으로 ‘역대 최대’
대한전선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이익 272억으로 ‘역대 최대’-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934억으로 작년 연간 이익 이미 초과- 높은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한 고수익 매출 실현이 실적 견인- 미국, 싱가포르에서 대형 수주 추가해 호실적 지속될 것으로 전망대한전선이 3분기 실적에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3분기 매출 8,044억원, 영업이익 272억원을 잠정 집계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을 6,300억원에서 28%, 영업이익은 174억원에서 56% 증가한 결과다. 특히 3분기 영업이익은 2010년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해 연결 분기 실적을 측정한 이래로 역대 최대이다. 3분기 누적 매출은 2조 4,573억원, 영업이익 93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조 883억원, 591억원에서 각각 18%, 58% 확대됐다. 누적 영업이익은 지난 2023년 연간 영업이익인 798억원을 약 17% 이상 초과한 성과다. 매출도 2010년 이후로 13년 만에 가장 높다. 실적 상승의 주요 요인은 높은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 고수익 제품의 매출을 지속 실현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전선은 미국, 유럽, 중동 등에서 수주를 이어가며, 상반기 말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인 2조 55억원 규모의 수주 잔고를 확보한 바 있다. 하반기에도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어지고 있어 대한전선의 실적 호조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대한전선은 미국에서 3분기에만 2,8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주해 연간 총 6,100억원의 수주고를 올렸다. 이 달 초에는 싱가포르에서 작년 연매출의 30%에 해당하는 8,400억원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 계약을 추가하며, 매출 확대의 기반을 마련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전력망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국내외 케이블 시장의 주요 공급자로서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초고압케이블 뿐 아니라 HVDC, 해저케이블 등 전략 제품의 수주도 확대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지속 성장의 기틀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PR상반기 영업이익 662억,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대한전선 상반기 영업이익 662억, “연결 기준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작년 연간 영업이익의 80% 이상 조기 달성, 영업이익률도 4% 넘어서- 국제회계기준(K-IFRS) 도입해 연결 반기 실적 측정한 이후 최고 성과- 미국, 유럽 등에서의 신규 수주 확대 및 고수익 중심 매출 증가대한전선이 역대급 성과를 기록하며,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24년 상반기 매출은 1조 6,529억 원, 영업이익은 662억 원을 잠정 집계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은 1조 4,583억 원에서 13%, 영업이익은 417억 원에서 59% 증가했다. 이번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해 연결 반기 실적을 측정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대의 실적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인 798억 원의 약 80% 이상을 상반기에 조기 달성한 결과다. 영업이익률도 4%를 넘어서며 2020년 상반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8,643억 원, 영업이익은 374억원을 기록하며, 작년 같은 시기 매출 7,544억 원, 영업이익 240억 원에서 각각 15%, 56% 상승했다. 직전 분기인 24년 1분기와 비교해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0%, 30% 확대되며 성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실적 호조의 배경으로는 고수익 제품 위주의 신규 수주 및 매출 확대를 꼽을 수 있다. 대한전선은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초고압 전력망과 같은 고수익 제품 수주에 역량을 집중해 왔다. 특히 글로벌 전력망 수요 확대를 견인하는 미국에서 올해에 총 5,200억 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매출 확대를 견인했다. Taihan VINA(베트남), M-TEC(남아공) 등 해외 거점 생산법인 역시 지속적으로 실적을 확대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전세계에서 인정하는 기술력과 공고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전력망 호황기를 맞아 지속적으로 호실적을 내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주 확대를 통해 높은 수주 잔고를 지속 유지하는 동시에, 해저케이블과 HVDC 케이블 등 전략 제품의 수주를 통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국가의 수출 경쟁력을 높여 가겠다”고 밝혔다. ◎ 상반기 연결 실적 (단위 : 억 원) ◎ 최근 5개년 연간 연결 실적 (단위 : 억 원)
-
NEWS PR1분기 영업이익 288억 달성,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
대한전선 1분기 영업이익 288억 달성,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2%, 영업이익률도 45% 증가하며 성장세 지속- 미국, 유럽 등에서 고수익 제품군 위주의 수주 및 매출 촉진이 주효대한전선이 글로벌 전력망 호황기에 힘입어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1분기 매출 7,885억 원, 영업이익 288억 원을 잠정 집계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은 7,039억 원에서 12%, 영업이익은 177억 원에서 63% 증가한 결과다. 이번 분기에 8천억 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거두면서, 대한전선은 2011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288억을 달성하며 2010년 2분기 이후 54분기 만에 최고의 성과를 냈다. 영업이익률도 개선됐다. 지난해 1분기에 2.51%였던 영업이익률은 올해 3.65%로 약 45% 상승했다.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은 높은 수주 잔고를 기반으로 한 매출 촉진으로 분석된다. AI(인공지능) 발전 및 신재생 에너지 확대로 전력망 수요가 늘어나고 노후 전력망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서, 대한전선은 미국, 유럽, 중동 등 주요 국가들에서 고수익 제품군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해 왔다. 실제로 2023년 말 기준 수주잔고는 1조 7,3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15% 증가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주 확대를 통해 높은 수주 잔고를 지속 유지하면서 매출을 확대해 실적을 계속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해저케이블과 HVDC 케이블 등 전략 제품의 수주와 생산의 현지화 등을 통해 지속 성장을 견인하고 기업 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덧붙였다.
-
NEWS PR2023년 영업익 784억, 15년 만에 ‘역대급 호실적’ 달성
대한전선 2023년 영업익 784억, 15년 만에 ‘역대급 호실적’ 달성- 연결기준 (잠정) 매출 2조 8,456억 원, 영업이익 784억, 순이익 670억 달성- 모든 지표 지속 성장, 글로벌 전력망 수요 확대로 실적 상승세 유지할 것- 미국, 유럽, 중동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지속적인 수주 확대 주효대한전선이 2023년에 역대급 호실적을 달성했다. 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2023년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2조 8,456억 원, 영업이익 784억 원을 달성했다고 23일 공시했다. 매출은 2022년도 2조 4,505억 원에서 16%, 영업이익은 482억에서 63% 증가한 실적이다. 당기순이익도 67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도 218억 원에서 207% 확대됐다.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08년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이다. 매출도 2011년 이후 12년 만에 최대 수치다. 호실적의 배경으로는 미국, 유럽, 중동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의 수주 확대를 꼽을 수 있다. 대한전선은 2021년 호반그룹에 편입된 이후 본업에 집중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주력해 왔다. 그 결과 대한전선은 미국에서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연간 3천 억원 이상의 누적 수주를 달성했으며, 독일과 바레인 등 새로운 초고압 케이블 시장을 개척하는 성과를 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신재생 에너지 관련 투자가 확대되고 노후 전력망의 교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전력 인프라 산업의 전망이 매우 밝다”고 설명하며, “해외 법인과 지사를 적극 확용한 현지 밀착 경영으로 신규 수주를 확대하고 매출을 촉진함으로써, 올해도 견고한 실적 상승세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저케이블 공장 건설 및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 등의 신규 투자와 HVDC 케이블 등 전략 제품의 수주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고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이겠다”고 덧붙였다